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이재명 기자, 첫 번째 주제 갈까요? <br><br>'사뿐히 즈려 밟혀도…' 이렇게 제목을 달았습니다. <br> <br>자유한국당, 여권의 선거법 개정, 공수처 설치 법안을 막겠다며 이틀 전부터 국회 본회의장 앞에서 농성을 하고 있는데요, 왠지 긴장감이 예전 같지 않습니다. <br> <br>아침에 일어나 동료의원의 머리도 매만져주고, 커피 한 잔에 김밥도 먹고, 규탄집회 도중 하품도 하고 <br>깜빡 졸기도 합니다. <br> <br>Q. 어제 황 대표, '나를 밟고 가라' '사생결단' 결기를 보였는데, 다소 거리가 있네요. <br><br>본회의가 언제 열릴지 알 수 없는 상황인 탓도 큽니다. <br> <br>하지만 근본적으로 2012년 국회선진화법이 시행된 이후 물리력 행사에 대한 부담이 커졌습니다. <br> <br>특히 올해 4월 한국당은 추억 속의 동물국회를 재현했다가 무더기로 고발된 상태입니다. <br> <br>Q. 8개월 전 충돌로 한국당 의원 60명이 고발돼 있잖아요. 자칫 충돌하면 또 고발될 수 있으니 몸도 사리겠죠. <br><br>맞습니다. 고발된 의원들이 한국당에선 전투력이 제일 뛰어난 의원들이겠죠. <br> <br>그런데 이들의 손발이 묶였으니 당 지도부에서도 이런 말이 나옵니다. <br> <br>조경태 / 자유한국당 최고위원 (CBS '김현정의 뉴스쇼') <br>저희들 같은 경우 결국은 필리버스터를 통해서라도 법안 처리를 막겠지만 지금 국회 선진화법 때문에 몸싸움도 할 수 없는 그런 상황이지 않습니까.<br> <br>물론 꼭 국회 선진화법이 아니어도 물리력 행사를 용납해선 안 되겠죠. <br> <br>결국 한국당 입장에선 말싸움 말고는 뾰족한 수가 없습니다. 이걸 범여권에서도 잘 알고 있습니다. <br> <br>윤소하 / 정의당 원내대표 (어제) <br>저희들은 거기를 밟고 가지 않습니다. 그분들을 피해서 본회의장으로 잘 들어갈 것임을… <br> <br>Q. 적극적으로 몸싸움을 할 수 없는 한국당을 조롱하는 느낌이네요. <br><br>맞습니다. 이미 예산안 처리 때도 한국당은 결사항전을 다짐했지만 28분 만에 뚝딱 처리됐었죠. <br> <br>이런 상황에서 황교안 대표는 연일 죽을 각오로 싸우겠다, 이렇게 강조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내일은 대규모 장외집회도 엽니다. 몸을 던질 수도, 몸을 피할 수도 없는 상황에서 당 지도부가 어떤 묘수를 내놓을지 궁금합니다. <br> <br>Q. 몸싸움은 물론 안 되지만, 어차피 못 막는다며 야당을 패싱만 한다면 여당도 역풍을 받겠죠. 다음 주제 갈까요? <br><br>'아들의 꿈 아빠의 한숨' 이렇게 제목을 붙였습니다. <br> <br>뾰족한 수가 없는 자유한국당, 연일 문희상 국회의장의 공천 세습 문제를 집중 공격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오늘 의원총회에서는 '부자 세습 No, 아빠 찬스 Out' 이렇게 쓴 현수막까지 내걸었습니다. <br> <br>심재철 /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<br>중립의 의무를 지켜야 할 국회의장이 자신 아들의 출세를 위해서 민주당 선봉대 역할을 한다는 것이 역사에 어떻게 남을지… <br> <br>Q. 저렇게 콕 집어 공격하니 문 의장도 부담이 되겠네요. <br><br>그럴 것 같습니다. 더욱이 이런 논란 속에서 아들의 총선 출마 꿈은 더 확고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문석균 / 더불어민주당 의정부갑지역위원회 상임부위원장 ('여랑야랑' 인터뷰) <br>나이가 50이 넘었는데 무슨 아버지 얘기를 들먹거리면서 하는 건 좀 웃기고요. 아버님의 생각을 누구보다도 잘 아는 제가 나서는 게 맞다고 생각했습니다. <br> <br>문석균 씨는 변호사와 의사를 언급하며 자식이 부모와 같은 직업을 갖는다고 무조건 세습이냐, 이렇게 반박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Q. 세습이란 단어가 좀 억울할 순 있겠지만 뭐 특혜의 소지는 분명히 있지요? <br><br>맞습니다. 그렇다 보니 민주당 지지층조차 요즘 사람들이 세습에 얼마나 민감한데 그걸 모르느냐, 이런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치권에선 아버지에 이어 자식이 국회의원을 하는 사례가 적지 않지만, 지역구를 곧바로 물려받는 경우는 정진석 한국당 의원 등 소수에 불과합니다. <br> <br>Q. 어쨌건 문석균 씨가 공천을 받을지 여론의 관심은 더 커졌고, 문 의장 부담도 따라서 커진 거죠. <br><br>맞습니다. 그래서 정치에 뛰어든 아들에게 아버지는 어떤 조언을 했는지 물어봤습니다. <br> <br>문석균 더불어민주당 의정부갑지역위원회 상임부위원장 ('여랑야랑' 인터뷰) <br>정치는 내가 너한테 준다고 해서 네가 할 수 있는 게 아니야. (그런데) 방법이 하나 있어. 네가 나를 뛰어넘으면 돼,라고 말씀하셨어요. 아버님이. <br> <br>문희상 의장은 자신을 뛰어넘어라, 이렇게 조언했다는데, 그 전에 먼저 넘어서야 할 게 있습니다. <br> <br>오늘의 한 마디는 '지지층 설득부터' 이렇게 정했습니다. <br> <br>네, 6선이나 했는데, 아들에게까지 물려주고 싶은 자리인 걸 보니 국회의원, 좋은 직업인 건 맞나봅니다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 <br>구성: 이재명 차장, 김지숙 작가 <br>그래픽: 성정우 디자이너